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 소개
| 학과명 | 학과개요 | 교육목표 |
|---|---|---|
|
경찰행정학과
(석사과정) |
경찰행정학과는 행정학 석ㆍ박사학위를 수여하는 과정으로 독자적인 연구 역량을 갖춘 고급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며, 국가 및 지방 행정기관, 경찰기관 등에서 근무하게 될 행정 전문가와 행정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실무 융합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임 |
①향후 국가 및 지방행정기관, 경찰기관, 민간경비기관 등에서
요구하는 독자적 인 연구역량을 갖춘 고급 연구 및 교수 인력
양성
②행정학 및 경찰학 전반에 걸친 이론과 실제를 가르침으로써 행정을 이해하는 능력, 경찰을 비롯한 행정조직을 관리하는 능력, 공공안보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 정보처리 능력 등 종합적인 변화 대응 역량을 함양 ③석사과정은 학생들에게 공공행정과 경찰학의 특정 분야에서 총괄 관리자와 전문가로서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역량을 교육 |
| The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Master's and Doctoral Program) |
The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is a program that
awards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in public
administration.
It aims to foster advanced talents with independent research capabilities, and is a department that primarily trains administrative experts who will work in national and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police agencies, etc., and practical convergence experts with the ability to solve administrative problems |
①Training of advanced researchers and professors with
independent research capabilities required by national and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police agencies, and private
security agencies in the future
②By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across the entire spectrum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e science, we cultivate comprehensive change response capabilities such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dministration, the ability to manag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cluding the police, the ability to rationally solve public security problems, and the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③The Master's program prepares students for leadership as general managers and specialists in specialized area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e science. |
|
경찰행정학과
(박사과정) |
경찰행정학과는 행정학 석ㆍ박사학위를 수여하는 과정으로 독자적인 연구 역량을 갖춘 고급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며, 국가 및 지방 행정기관, 경찰기관 등에서 근무하게 될 행정 전문가와 행정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실무 융합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임 |
①향후 국가 및 지방행정기관, 경찰기관, 민간경비기관 등에서
요구하는 독자적인 연구역량을 갖춘 고급 연구 및 교수 인력
양성
②행정학 및 경찰학 전반에 걸친 이론과 실제를 가르침으로써 행정을 이해하는 능력, 경찰을 비롯한 행정조직을 관리하는 능력, 공공안보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 정보처리 능력 등 종합적인 변화 대응 역량을 함양 ③박사과정은 특정 분야의 총괄 관리자와 행정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 외에도 독립적인 연구자가 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교수진에게 필요한 통찰력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 |
| The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Master's and Doctoral Program) | The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is a program that awards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in public administration. It aims to foster advanced talents with independent research capabilities, and is a department that primarily trains administrative experts who will work in national and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police agencies, etc., and practical convergence experts with the ability to solve administrative problems |
①Training of advanced researchers and professors with
independent research capabilities required by national and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police agencies, and private
security agencies in the future
②By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across the entire spectrum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e science, we cultivate comprehensive change response capabilities such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dministration, the ability to manag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cluding the police, the ability to rationally solve public security problems, and the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③In addition to producing general managers and administrative experts in specific fields, the doctoral program also develops the ability to be independent researchers and trains professionals with the insight required of faculty members. |
|
안전보안학과
(석사과정) |
안전보안학과는 안전・보안 제반 분야에 대한 사회과학적 이론과 자연과학적 이론을 연구하며 급증하는 범죄를 예방, 생활안전을 충족시킬 수 있는 안전・보안분야의 지도자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
⓵안전・보안 및 안전학 학자로서의 품성과 자질을 함양시키며
안전학 및 보안학의 전공분야별 학습지식과 연구방법론을
학습한다.
②인적 학문의 기초이론을 응용하여 보안・ 경호 나아가 안전에 대한 독창적인 연구과제를 수행 할 수 있는 학자로서의 품성과 자질을 함양한다. |
| Department of Safety and Security (the Master's course) | The Department of Safety and Security is a department that researches social and natural science theories in all areas of safety and security, and trains leaders in the safety and security fields to prevent rapidly increasing penalties and meet life safety. |
⓵It cultivates the character and qualities of safety,
security, and safety scholars and learns the learning
knowledge and research methodology of each major field of
safety and security studies.
②By applying the basic theory of human studies, we cultivate the character and qualities of a scholar who can carry out original research tasks on security and security as well as safety. |
|
안전보안학과
(박사과정) |
안전보안학과는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적합한 안전・보안 및 안전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의 기회를 제공, 국민의 행복과 안전을 추구하는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안전에 대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여 안전・보안 및 안전학의 다양한 학문적 관점 및 연구를 통해 사회요구에 대응하는 안전・보안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
①안전 및 보안학 분야의 실천적 전문능력을 신장시키고 안전 및
보안학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폭넓게 이해하여 국민의 행복과
안전한 생활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②안전 및 보안에 대한 문제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체계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실천적 전문성을 배양한다. ③안전학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올바른 안전 문화를 정착시키고 국제 간 교류를 활성화하여 보안 및 안전학 자체의 발전과 국가간 유대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전문 지도자를 향성한다. |
| Department of Safety and Security (the Master's course) | The Department of Safety and Security is a department that researches social and natural science theories in all areas of safety and security, and trains leaders in the safety and security fields to prevent rapidly increasing penalties and meet life safety. |
⓵It cultivates the character and qualities of safety,
security, and safety scholars and learns the learning
knowledge and research methodology of each major field of
safety and security studies.
②By applying the basic theory of human studies, we cultivate the character and qualities of a scholar who can carry out original research tasks on security and security as well as safety. |
|
보건학과
(박사과정) |
보건학과는 재활과 구강보건 등 실용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변화하는 보건의료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고, 지속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전문성을 강화하며, 지역사회와 국가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보건의료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학과임. |
①보건 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교육기관과
보건기관에서 지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보건의료 전문인력
양성
②보건 분야 인력의 훈련과 지도를 통해 실무 중심의 능력을 배양하고, 보건 분야 발전에 기여 ③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윤리의식을 함양하고, 보건 전문가 간의 상호 이해 및 협력 을 통해 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 도모 ④재활 및 구강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연구와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국가 건강 증진에 공헌 |
| Department of Public Health (Ph.D. Courses) | Th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ims to cultivate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can actively respond to the evolving healthcare environment through practical curricula such as rehabilitation and oral health. It also seeks to strengthen professional expertise by providing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health in bo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nation. |
①Cultivate healthcare professionals capable of taking on
leadership roles in educational and healthcare institutions
based on comprehensive knowledge in the field of public
health.
②Enhance practical skills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and guidance of personnel,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the public health sector. ③Foster ethical awareness grounded in respect for human dignity, promoting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healthcare services. ④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national and community health through practical research and activities addressing rehabilitation and oral health issues. |
|
간호학과
(석사과정) |
대학원 간호학과는 실용학문인 간호학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독자적인 연구 능력을 함양하고, 급변하는 보건의료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전문 간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체계를 갖추고 있다. 간호교육의 다양화, 전문화, 간호 연구의 특성화를 위한 간호지도자를 육성함으로써 지역사회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전문간호사를 양성하고 있다. |
대학원 간호학과의 교육목적은 간호이론과 연구 및 실무를
통합하고 연구함으로써 간호지도자, 교육자 및 연구자의 자질을
함양하여 간호전문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다.
①간호학 전문지식을 확장, 기술을 함양하고, 간호이론을 실무에 적용하고 평가한다. ②실무를 기반으로 간호연구를 기획하고 수행한다. ③개인과 지역사회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하여 리더십을 발휘한다. |
| Department of Nursing (Master's course) |
The Graduate School of Nursing has an educational system to
foster independent research capabilities and to train
professional nursing personnel who can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health and medical environment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nursing, which is
a practical discipline.
By fostering nursing leaders for the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nursing education and the specialization of nursing research, we are training professional nurses wh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community health. |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Graduate School of Nursing i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fession by integrating and studying nurs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and by fostering the
qualities of nursing leaders, educators, and researchers.
①Expand nursing expertise, cultivate skills, and apply and evaluate nursing theory to practice. ②Plan and conduct nursing research based on practice. ③Exercise leadership to maintain and promote the health of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
|
물리치료학과
(석사과정) |
경운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석사과정은 2012년
일반대학원으로 시작되었다. 대학의 인재상과 연계된 실용
학문의 발전에 기여 하기 위해, 근거 기반의 연구 능력을 함양하
고 과학적 이론의 학습, 임상 기술 및 연구가 통합된 교육체제를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물리치료 교육의 다양화, 전문화, 연구의 특성화를 실현하고, 물리치료 각 분야의 지 도자를 육성함으로써 지역사회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전문 물리치료사를 양성하고 있다. |
①물리치료학 전문지식을 확장, 기술을 함양하고 물리치료 이론을
실무에 적용함으로 서 실무중심의 물리치료를 지향한다.
②물리치료 지식을 확장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확인하고 근거중심의 연구를 수행한다 ③개인과 지역사회 및 국가의 건강 및 의료 재활정책 기조를 확인하고 이에 적극 참여하고 유지 및 증진을 위해 리더십을 발휘 한다. |
|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he Master's course) |
The Master’s Program in Physical Therapy at Kyungwoon
University, established in 2012, aligns with the
university’s mission to foster talent and advance applied
scholarship.
The program emphasizes evidence-based research and integrates scientific theory, clinical practice, and inquiry. It aims to diversify and specialize physical therapy education, promote research excellence, and cultivate leadership, ultimately preparing professionals dedicated to enhancing community health. |
①The program is committed to cultivating advanced expertise
and clinical competence in physical therapy by integrating
theoretical knowledge with practical application, thereby
promoting a practice-centered approach.
②It encourages the identification of key research ques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investigations to contribute to the academic advancement of the field. ③Students are expected to engage actively with public health and rehabilitation policies at individual, community, and national levels, demonstrating leadership in sustaining and enhancing healthcare initiatives. |
|
임상병리학과
(석사과정) |
대학원 임상병리학과는 의학과 생명과학이 융합된 학문 분야로,
인체의 생리적 기능과 질병 간의 상호작용, 병리 기전, 질병의
원인 규명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합니다.
본 학과는 질병의 예방, 진단, 경과 추적 및 치료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의학적 지식과 생명과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융합형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임 |
①질병의 병리기전과 진단 원리에 대한 심층 이해
②의과학 및 생명과학 분야의 융합적 연구 능력 함양 ③임상진단 및 치료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 는 연구 역량 강화 ④생명현상에 대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통한 학문적 기여 |
| Department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the Master's course) |
The Graduate Program in Clinical Laboratory Science is an
interdisciplinary academic field that integrates medicine
and life sciences to systematically study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the human bod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functions and diseases, the mechanisms of pathogenesis, and
the identification of disease causes.
The program aims to establish the scientific foundations necessary for disease prevention, diagnosis, monitoring, and treatment, and is dedicated to fostering interdisciplinary experts equipped with both medical knowledge and life science-based approaches. |
①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athogenesis of diseases and
principles of diagnosis
②Development of integrative research capabilities in medical and life sciences ③Enhancement of research competency to contribute to clinical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④Academic contribution through basic and applied research on biological phenomena |
|
항공정책경영학과
(석사과정) |
항공정책경영학과는 항공산업 정책과 항공산업 경영과 관련한
이론과 현상을 사회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한다.
항공산업의 정책수립에서부터 경영에 이르기까지 나타나는 불 합리한 요소를 발견하고, 분석하며, 합리적인 대책과 거기에 맞는 새로운 이론을 다룬다. 또한 미래의 흐름과 변화를 주도할 새로운 이론적 기반을 탐구하여 항공산업 전반을 발전시키는 연구자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
⓵항공정책과 경영에 관련된 다양한 이론을 탐구하여 항공산업의
현황과 미래에 관련한 학습지식을 연마하고, 각 현상과 이론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배양 한다.
②항공산업의 현실적인 정책수립과 경영의 현장자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올바른 항공정책 수립과 경영현장의 개선 능력을 향상한다. |
| Department of Airline Policy and Management (the Master's course) |
The Department of Aviation Policy and Management analyzes
and researches theories and phenomena related to aviation
industry policies and management from a social science
perspective.
It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irrational elements that arise from policy formulation to management in the aviation industry, and to address them with rational measures and corresponding new theories. Additionally, the department seeks to cultivate researchers who will explore new theoretical foundations to lead future trends and changes, thereby advancing the entire aviation industry. |
⓵By exploring various theories related to aviation policy
and management, we refine our knowledge about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of the aviation industry, and cultivate the
ability to critically view each phenomenon and theory.
②Critically analyze the practical policy formulation and management data of the aviation industry to enhance the ability to establish sound aviation policies and improve the management field. |
|
글로벌한국학과
(석사과정) |
대학원 글로벌한국학과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통합적으로
교육하여 학습자의 실질적인 언어 활용 능력을 배양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전문가, 통번역가, 문화 관련 분야로의
진출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함.
또한 한국어 교원 자격증 등 관련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경력 개발을 지원하며, 세계화 시대에 부합하는 국제적 소양과 학문적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
①글로벌 한국어 교육 전문가 양성 :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한국어 학습 수요에 대응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글로벌 환경에서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②다문화 소통 역량 강화 : 다양한 언어와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다문화 소통 능력 배양 ③취업 및 자격증 취득 지원 : 한국어 교원 자격증 등 관련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도록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 통번역, 문화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로의 취업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Master's course) |
The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aims to cultivate
learners’ practical language skills by integrat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prepare them to advance into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culture-related fields.
It also provides courses that enable students to obtain related qualifications such as Korean language teacher certification, and supports learners’ career development. It also aims to cultivate talents with international knowledge and academic expertise suitable for the era of globalization. |
① Training of global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 In response to the growing demand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worldwide, we train experts who can teach Korean in a global environment through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② Strengthening multicultur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 We foster multi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so that we can effectively convey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learners with diverse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s. This enables smoot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on the international stage. ③ Support for employment and qualification acquisition - We design the curriculum to enable acquisition of related qualifications such as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providing employment opportunit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cultural content. |
|
사회체육학과
(석사과정) |
사회체육학과는 체육학의 자연과학분야와 인문사회분야의 학문적 이론과 실무를 바탕으로 실무능력을 갖추고 정부나 공공기관, 학교, 산업현장을 포함한 각급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미래지향적인 전문 체육 지도자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학과임 |
①전문적인 체육이론을 바탕으로 실기능력을 배양하여 전문 체육
지도자 양성
②올바른 체육인의 자세와 체육의 자연과학 분야와 인문사회 분야의 전문지식을 습득 하여 대한민국 체육 사업에 기여 ③전문화된 체육분야 연구 수행, 실험과 실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전문적인 실무 능력 습득 ④건강에 대한 자료수집, 분석 및 체육분야 연구를 통하여 국민건강의 증진에 기여 |
| Department of Social Sports (the Master's course) | The Department of Social Sports is designed to train future professional sports leaders required by the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schools, and industrial sites with practical skills based on academic theories and practices in the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social fields of physical education |
①Cultivate professional sports leaders by cultivating
practical skills based on professional sports theory
②Contribute to Korea's sports business by acquiring the
correct posture of sportsmen and expertise in the natural
sciences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③Conduct specialized physical education research, actively participate in experiments and practice to acquire professional practical skills ④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public health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health data and research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
|
IT에너지학과
(석사과정) |
IT에너지학과는 에너지소재공학과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융합한 학과로, 미래 전략산업인 차세대 디스플레이, LED, 유기
및 무기 나노신소재와 에너지신소재 등의 학문 분야의 통합적
교육을 제공합니다.
4차 산업시대의 자율자동차, 5G 네트워크, 스마트 팩토리 등 초연결시대의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신소재와 태양광, 연료전지, 이차전지로 대표되는 에너지 하베스팅, 저장 및 변환 분야의 전문지식을 교육을 합니다. |
IT에너지학과는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융합형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다음의 3가지의 방향으로 인재를 양성합니다.
①에너지소재 분야의 전문성 강화를 통해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②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기술적 도전을 해결할 수 있 는 융합형 인재 양성 ③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바로 현장 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 |
| Department of IT Energy (the Master's course) |
Department of IT Energy: Cultivating Future Innovators
Welcome to the Department of IT Energy at Kyungwo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ur program uniquely blends energy materials engineering with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offer a comprehensive education designed to equip you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needed for the industries of tomorrow. |
Our Educational Goals The Department of IT Energy is
committed to developing converged professionals who are
ready for the demands of the future. We achieve this by
focusing on three key areas:
▶·Innovators in Energy Materials: We cultivate experts who can offer innovative solutions by strengthening their specialization in energy materials. ▶Converged Talent for New Challenges: We foster individuals who can tackle new technological challenges by integrating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y-ReadyProfessionals: Through practical, hands-on training, we develop individuals with the real-world skills necessary for immediate application in their chosen fields. |
|
항공소프트웨어
융합학과 (석사과정) |
항공소프트웨어융합학과는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컴퓨터시스템, 항공전자, 무인기제어 분야와 지능정보기술 및 IoT기반 기술을 융합하는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현장 맞춤형 소프트웨어 고급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경쟁력 있는 교육환경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교육과 연구를 실시하는 학과임. |
①4차 산업혁명 분야 지능정보 기술 및 IoT 연결 기술 전문가
양성
②미래 첨단 모빌리티 분야 소프트웨어 산업 을 위한 소프트웨어 융합 기술 전문가 양 성 ③소프트웨어 기술와 역량을 바탕으로 산업 계 필요 기술의 공동 연구를 통한 현장형 지식인 양성 |
| Department of Aviation Software Convergence (the Master's course) |
The Department of Aviation Software Convergence is committed
to cultivating high-level software professionals who possess
both theoretical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The program focuses on the integration of software-centered disciplines, including computer systems, avionics,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ntrol,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IoT-based systems. To meet the evolving demands of the aviation and software industries, the department provides a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nducts systematic, practice-oriented education and research tailored to real-world applications. |
- Develop creative, integrated, and practice-oriented
unmanned aircraft specialists based on engineering system
design and control.
- Strengthen convergent application capabilities in mechanical, control, and aerospace fields grounded in unmanned aircraft hardware and software. - Educate innovative and practical unmanned aircraft R&D experts with balanced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
|
산업공정AI
융합학과 (석사과정) |
산업공정AI융합학과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산업 변화에 맞는 AI 중심의 첨단 기술 융합분야 응용 기술의 개발과 산업 현장의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실무형 DNA (Data-Network-AI) 중심의 융합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경쟁력 있는 교육 환경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교육과 연구 를 실시하는 학과임. |
①4차 산업혁명 분야 지능정보 기술 및 초연결 기술의 응용
전문가 양성
②첨단 제조 분야 DNA 중심의 AI 융합 엔지니어 및 연구인력 양성 ③AI 융복합 응용 기술역량을 바탕으로 산업계 필요 기술의 공동 연구를 통한 현장형 지식인 양성 |
| Department of Industrial Process AI Convergence (the Master's course) |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Process AI Convergence is
dedicated to fostering practice-oriented convergence
research professionals with expertise in Data, Network, and
AI (DNA) technologies.
In response to the rapid transformations driven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partment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dvanced, AI-centered applied technologies and the cultivation of problem-solving capabilities tailored to industrial field applications. To this end, the department provides a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nducts systematic education and research that align with real-world industrial demands. |
①To cultivate experts in the application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hyper-connected system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②To train AI convergence engineers and researchers with a strong foundation in DNA technologies for the advanced manufacturing sector ③To develop field-ready professionals through collaborative research addressing industry-driven technological needs, grounded in comprehensive AI convergence capabilities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