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이론1,2
(Communication Theory 1,2) |
-
통신이론은 정보통신 공학도가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과목으로 신호 및 시스템, 회로이론, 전자회로, 선형대수학, 미분적분학 등의 교과목을 기초로 하여 신호의 성질, Fourier 변환, 급수, 적분 등의 수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아날로그 및 디지털 통신의 원리를 익히도록 한다.
|
컴퓨터 네트워크
(Computer Networks) |
-
본 교과목은 컴퓨터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에 대해 적용되고 있는 기술들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며, 네트워크 관리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각 네트워크 방식별로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의 세부 스펙 및 기능들을 이해하여 네트워크 관리 및 네트워크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토록 한다. 본 교과목에서 다루는 세부 내용으로는 LAN, Ethernet, MAN, X.25, ISDN, Frame Relay의 개념과 기본 동작 그리고 네트워크의 구조와 네트워크 기기들의 기능 등에 대해 다룬다.
|
컴퓨터 네트워크 실무
(Practices of Computer Networks) |
-
본 교과목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관리와 인터넷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습득을 위해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인 TCP/IP 프로토콜의 계층구조 및 패킷 구조와 라우팅 기술 및 알고리즘, 네트워크 관리 및 보안, QoS의 기본 개념과 적용 모델에 대해 다루며,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주소체계인 IPv6의 주소체계와 패킷구조에 대해 학습하고 VoIP와 VPN의 구성 및 프로토콜을 이해하도록 하여 인터넷 기반의 음성통신 및 사설 네트워크 구축방법에 대해 익히도록 한다.
|
전파공학
(Microwave Engineering) |
-
본 교과목은 무선통신관련 기초과목으로 회로이론, 전자회로, 전기자기자기학, 공업수학 등의 과목을 이수하고 기본적인 개념이 정립된 후에 전파에 대한 파동방정식, 분포정수선로, 산란행렬, 스미스 도표와 임피던스 정합, 도파관과 동축선로, 마이크로파 집적회로용 전송 선로, 마이크로파 회로, 마이크로파 증폭기, 전력분배기/합성기, 마이크로파 수동회로 및 능동회로에 대한 특성 등의 내용을 다룬다.
|
신호및시스템
(Signals and Systems) |
-
본 교과목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전기전자 장치(필터 및 통신기기) 및 소프트웨어 형태의 신호처리(영상처리 및 음성처리) 시스템에 대한 입출력관계의 이해와 시스템의 동작 분석을 위한 기초 이론을 교육한다. 아날로그 및 디지털 통신, 디지털신호처리(DSP) 과목 이수를 위한 필수과목이며 디지털신호가 아닌 아날로그 신호를 주로 다루며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산업현장 및 연구관련 기관에서 세계적 표준으로 사용되는 Mathworks MATLAB을 사용한다.
|
마이크로 프로세서실무1,2
(Practices of Microprocessor 1,2) |
-
본 교과목에서는 8비트 RISC 마이크로컨트롤러인 AVR(ATmega128 또는 상위 프로세서)의 기본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이나 제어계측 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설계하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주변 I/O 인터페이스 구성 및 사용 방법, 어셈블리와 C언어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그리고 개발 툴을 이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특히,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인터럽트, I/O 포트, 타이머, 직렬포트와 같은 기능을 중점적으로 익히도록 하며 주변장치로서는 LCD모듈, A/D 컨버터, D/A 컨버터, RTC 등에 대해 철저히 교육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항공MRO의이해
(Aircraft MRO Understanding) |
-
본 교과목은 항공전자 MRO 산업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시험평가 장비 및 설비, 인증 및 표준화에 필요한 제반 사항에 대한 분석, 항공 부품에 대한 이해를 습득함으로서 효과적인 MRO 작업을 위한 시스템 제작의 기초 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
스마트폰 프로그래밍
(Smart Phone Programming) |
-
본 교과목은 구글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클래스, 객체, 상속 등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기법과 자바 패키지, 입출력 스트림 등의 자바(Java) 언어에 대한 기본 문법에 대해 다루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다중 스레드(Multi Thread), 파일 입출력 등의 자바 언어의 고급 기능과 최신의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 개발 킷을 사용하여 창의적이고 상품성 있는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기초 및 실무 기술을 익히도록 한다.
|
PCB설계실무
(Practices of PCB Design) |
-
본 교과목은 아날로그 회로 및 디지털 회로를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제작하는 방법을 습득하기 위해 산업 현장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문 제작 툴인 OrCAD의 사용법과 부품 선택 및 배치, 패턴도 작성 등의 PCB제작 기법을 익히도록 하며, 가산기 회로 및 디지털 클럭 등의 다양한 회로에 대해 설계 과정을 반복, 학습함으로써 실무에 필요한 핵심 설계 기법을 익히도록 한다.
|
PCB설계실무
(Practices of PCB Design) |
-
본 교과목은 아날로그 회로 및 디지털 회로를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제작하는 방법을 습득하기 위해 산업 현장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문 제작 툴인 OrCAD의 사용법과 부품 선택 및 배치, 패턴도 작성 등의 PCB제작 기법을 익히도록 하며, 가산기 회로 및 디지털 클럭 등의 다양한 회로에 대해 설계 과정을 반복, 학습함으로써 실무에 필요한 핵심 설계 기법을 익히도록 한다.
|
매트랩기초
(MATLAB Basic) |
-
본 교과목은 수치 해석 및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하는 공학용 소프트웨어인 매트랩(MATLAB) 프로그램의 기본 기능을 익히는 기초과정으로서 데이터 입력 및 처리방법, 행렬 연산, 행렬함수 및 수학함수, 배열연산, 데이터 해석법, 다항식 계산,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커브피팅(Curve fitting), 보간법 등의 핵심 기초과정과 매트랩 프로그래밍 작성법, 그래프 출력방법, Simulink 등의 고급기능들을 익힘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및 해석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무인항공기 제어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 |
-
본 교과목은 무인항공기의 동작을 위한 제어 시스템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위해 무인 항공기 원격 제어 및 자동 제어를 위한 무인기 구조 이해, 무인항공기 원격제어 기구적 원리 이해, 무인항공기 원격제어 전기적 원리에 대해 다룬다. 아울러 무인항공기 비행을 위한 기본 시스템에 대한 이론, 그리고 하드웨어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무인항공기 제어실습
(Control Practice of Unmanned aerial vehicle) |
-
본 교과목은 무인 항공기 원격 제어 및 자동 제어를 위한 무인기 구조 이해, 무인항공기 원격제어 작동 실습, 무인항공기 원격제어 비행 조종 등의 실습을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모터 등을 활용하여 무인항공기의 비행을 위한 기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제어를 통해 체득하도록 한다.
|
레이더공학1,2
(Radar Engineering 1,2) |
-
레이다는 표적을 탐지하고, 거리 혹은 방위를 확인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시스템이다. 레이더공학1은 펄스 레이다의 기본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다른 형태의 레이다를 이해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A-scope 디스플레이, 거리-지연 관계, 레이다 안테나, 레이다 방정식을 이해한다.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구동 시스템, PPI 디스플레이와 같은 펄스 레이다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한다. 연속파와 주파수 변조 연속파 레이다에 적용되는 방정식과 실제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레이더공학2는 Analog MTI Radar 시스템에서 이동표적 지시의 원리와 잡음과 클러터의 존재 여부를 결정할 때 생기는 문제들과 신호의 질 개선, 표시기 포화상태를 방지하는 기술에 대해 학습하는 과목이다.
|
레이더공학실험1,2
(Practices of Radar Engineering 1,2) |
-
본 교과목은 레이더공학 실험과 관련한 레이더공학 이론을 상세히 공부하고, 또한 실험을 통해 레이더공학 이론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과목이다. 레이더공학실험의 주요 내용으로는 먼저 안전에 관해 다룰 것이다. 다양한 형태의 레이더 시스템들을 고장 수리하는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기술들을 습득하기 위해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구동 시스템, PPI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 핵심적인 레이더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레이더공학실험의 주요 목표이다.
|
창의적설계1,2
(Capstone Design 1,2) |
-
본 교과목에서는 전공분야의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실생활 및 산업현장에 응용이 가능한 창의적인 시스템(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설계 과정을 이해하고 실제 제작 과정을 통해 설계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또한 팀 운영을 통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팀 구성원들 간의 협력과 역할 분담의 중요성을 체득케 하고 문제 해결과정에서의 토론과 발표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
항행전자시스템
(Navigation System) |
-
본 교과목은 항공기가 이용하고 있는 항행시설, 착륙유도정보를 제공하는 계기착륙시설(ILS)와 전방향표지시설(VOR/DME, VOR/TACAN)등과 장거리 운항을 위한 항법시설인 오메가, 로란C 및 탑재장비인 관성항법장치(INS/IRS) 등의 항행시설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과목이다. 또한 새로운 개념의 항공항법시스템(CNS/ATM:Communication Navigation and Surveillance/Air Traffic Management)과 자동항행감시시스템(ADS: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에 의한 항공감시, 혼잡한 대륙공역에 사용하는 이차감시레이다(SAR:Secondary Surveillance Radar)에 대해서도 학습하게 된다.
|
항공역학
(Aerodynamics) |
-
본 교과목에서는 공기 중을 비행하는 항공기가 갖는 공기역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며, 나아가 항공기 설계, 해석 및 운용에 필요한 비행원리를 습득하기 위해 에어포일 및 공력, 양력, 항력 등에 관한 공기 역학과 항공기의 비행 원리 및 성능, 초음속 공기역학, 안정성과 조종, 추진이론, 헬리콥터 공기역학 등에 대해 학습한다.
|
암호의역사
(History of Security) |
-
본 교과목은 고전적 암호의 의미와 발전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암호강도와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현대 암호로의 발전과정에 대해 학습한다. 아울러 현대암호의 종류 및 분석 기법에 대한 소개와 최근에 사용되어지는 암호알고리즘에 대해 학습함으로서 미래의 발전 방향에 대해 사고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도록 한다.
|
현장실습 1,2,3,4(LINC)
(Field Practices 1,2,3,4(LINC)) |
-
본 교과목은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상과의 괴리를 제거하는 동시에 청년실업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소양과 능력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재학기간 동안 산업체에 직접 근무하는 형태의 현장실습을 수행하는 과목이다. 본 교과목을 통해 산업현장의 실무기술을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에 대한 자각을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가 될 수 있는 자기계발의 기회와 동기를 부여한다. 본 교과목은 재학 기간 동안 산업체에서 160시간 이상 현장 연수를 통해 실무를 익히도록 한다.
|
시스템 프로그래밍
(System Programming) |
-
본 교과목은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기술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에 대한 분석 방법론, 알고리즘 구축 방법, 시스템과의 접목 방식, 안전성 확보 체계 등에 대해 학습함으로서 항공기 조정 프로그램의 설정과 운영 방법들에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
시스템 프로그래밍 실습
(Practice of System Programming) |
-
본 교과목은 회전익 항공기 구조와 비행원리 이해, 무인 회전익 항공기 구조와 비행원리를 학습하고, 무인 회전익 항공기 조종 프로그램 설정 및 운영에 대해 실습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게 함으로서 현장의 실무 감각을 갖추도록 한다.
|